왜 자료는 잘 정리되지 않을까요?
자료 관리의 문제...
무엇이 문제 일까요? - 통상적인 자료는 다양한 속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한가지 기준으로 분류가 되지 않습니다. - 연관된 자료는 함께 관리되어야 하고, 같이 나열 되어야 합니다. - 복잡한 과정없이 저장된 자료에 즉시 접근 가능해야 합니다. - 자료는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다양하게 조직화 될수 있어야 합니다.
정보 관리 프로세스
수집
분석
분류 <- 여기서 문제가 발생합니다.
보관
열람
정보 관리 체계의 핵심요소
구조화 <- 여기가 문제입니다.
순결성
안전성
접근성 <- 여기가 문제입니다.
현존하는 다양한 정보관리 방법
키워드 검색
장점:
자료를 분류하지 않아도 사용이 가능함.
단점:
검색어와 일치 하지 않으면 자료를 찾을 수 없음.
외국어 자료, 소스코드, 이미지, 사운드 등.
원치 않은 결과가 같이 검색됨.
적합한 검색어를 선정하는데 경험과 요령이 필요함.
디렉토리 방식
장점:
한가지 속성으로 자료를 분류하는데 매우 적합함.
예: 지도, 사전, 달력, 조직도 등.
단점:
박쥐 데이터를 다룰 수 없음
'박쥐'는 어디에 둘 것인가? /날개달린동물? 혹은 /포유류?
통상적인 자료는 다양한 속성이 있기 때문에 디렉토리 방식으로는 적절하게 분류할 수 없음.
다양한 속성: 날짜, 파일타입, 용도, 주제, 버전 등
원하는 기준으로 자료를 다양하게 재구성 할 수 없음.
원하는 자료에 즉시 접근이 어려움.
태그 방식
장점:
태그 목록에서 태그를 선택하면 자료에 즉시 접근가능.
잘 관리된 자료는 다양한 기준으로 구성이 가능함
단점:
사용자가 직접 여러개의 태그를 일일이 입력해야 함.
태그가 누락되거나 잘못 지정되면 정보관리 체계에 결함이 발생
태그 사이의 의미가 상호 배타적이 아닌 경우 의미 중복으로 효율이 떨어짐.
동일 이름의 태그가 있을 경우 네임스페이스 충돌
다목적 정보관리 소프트웨어 `SlipStack` 소개
'다중분류트리' 방식의 정보 관리 도구
디렉토리 방식과 태그 방식의 단점은 배제하고 장점을 융합
사용자의 시간과 노력을 줄여주는 스트림라인 인터페이스
'다중분류트리' 방식이란?
자료의 각 속성에 해당하는 여러개의 태그트리를 구성
예: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등.
자료의 속성에 맞는 각 트리의 태그를 자료에 지정
자료를 찾을 때, 태그를 여러개 선택하면 각 태그로 검색된 결과물의 논리 연산을 나열해서 표시
교집합, 합집합(캘린더의 경우), 여집합.
소개 영상
Last updated